전체 글90 [Error] Jupyter notebook 500 : Internal server error 해결 방법 Jupyter notebook에 들어가니 이러한 에러가 뜬다. 파이썬 버전이나 다른 라이브러리 설치할 때 뭔가 잘못 건드린 것 같긴한데.. 다른 블로그의 글을 참고해서 수정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패 1 conda upgrade nbconvert 가장 많이 나온 해결법이였는데 나에겐 도움되지 않았다. 실패 2 터미널의 에러 로그를 천천히 읽어보니 모듈에 대한 에러가 떴다 conda install -c conda-forge jupyter_server 이 방법 또한 해결되지 않았다. 아무래도 아나콘다 환경을 다시 설치해야 할 것 같다. 아나콘다 삭제 Mac의 경우, 아나콘다 어플리케이션을 지우는 표시가 뜨질 않는다. 따라서 Finder를 켜고, 의 경로로 들어가서 나오는 Anaconda3 폴더를 지워준다... 2022. 12. 28. [GITHUB] Github 시작하기 Github은 git 으로 관리하는 모든 프로젝트를 온라인으로 공유해서 프로젝트 구성원들이 함께 소프트웨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왜 필요할까요? 프로젝트 구성원들이 동시에 작업을 할 수 있고, 모든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커밋 단위로 실행하여 최신화가 됩니다. 먼저 아래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가입을 합니다. https://github.com GitHub: Let’s build from here GitHub is where over 94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 2022. 12. 26. [GITHUB] 과거로 돌아가기 실습 전 숨김 파일을 백업해둡니다. Reset 이용하여 과거로 돌아가기 commit 내역을 확인합니다. git log git reset --hard "commit code" commit code 부분에 위 사진의 원하는 시점의 commit code를 붙여놓습니다. 이렇게 변경된 commit 내용들을 이전으로 돌이키려면 복사해뒀던 .git 파일을 다시 원래 폴더로 옮깁니다. Revert로 과거의 커밋 되돌리기 git revert "commit code" 취소한 내역까지 로그로 확인할 수 있는 revert의 사용법입니다. 2022. 12. 24. [GITHUB] 변화를 Version에 담기 IT저번 시간에는 변경사항들을 확인하는 내용에 대해 다뤘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런 변경 내용들을 저장해보는 것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먼저 명령어를 볼게요 git add team_1.yaml git add라는 명령어를 써서 원하는 파일을 버전에 저장합니다. 모든 파일을 저장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git add . 변경확인을 해보면 위와 같이 변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git commit을 실행합니다. git commit 결과로는 마우스를 입력할 수 없는 창이 나오게 됩니다 vi 모드라는건데요, 입력 시작 : i 입력 종료 : ESC 저장 없이 종료 : :q 저장 없이 강제 종료 : :!q 저장하고 종료 : :wq 의 명령어로 입력이 가능합니다. i를 눌러 입력 모드로 전환 => 아무 문구 e.. 2022. 12. 23. [GITHUB] GIT에서 관리에 포함하지 않고싶다면? GIT에서 관리할 프로젝트 중에서 남들에게 알리면 안되는 정보나, 관리하고 싶지 않은 정보가 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러한 파일들이 있습니다. git status를 해보면 모든 파일이 출려됩니다. 하지만 no.yaml이라는 파일은 관리하고 싶지 않네요. .gitignore 파일을 생성해봅시다. 파일 안에 관리하고 싶지 않은 파일을 적어줍니다. no.yaml 파일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죠? 추가 정보입니다. 모든 파일을 무시하고 싶을 때 *를 붙여 전부 무시합니다. *.c 폴더 경로를 응용하여 특정 폴더들만 무시할 수 있겠네요! 2022. 12. 23. [GITHUB] Git 설정 및 프로젝트 시작하기 프로젝트를 시작하기에 앞서, 팀원 및 다른 사람들에게 나의 GIT 정보를 알리기위한 설정이 필요합니다. GIT 설정하기 GIT BASH에서 다음과 같이 실행해줍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확인을 원한다면,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이로서, git에서 사용할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설정이 모두 끝났습니다. 프로젝트 생성 및 GIT 관리 시작하기 폴더를 생성해줍니다. 이후, VSCODE에서 폴더를 열고, 그 안에서 명령어를 수행할겁니다. VSCODE 안에서 터미널을 열어 git init 을 적어줍.. 2022. 12. 23. [GITHUB] GIT 설치 for Mac 저번 글에서는 window 사용자분들을 위한 GIT 설치 방법에 대해 다뤘었는데요 2022.12.23 - [참고/GITHUB] - [GITHUB] GIT 설치 for Window [GITHUB] GIT 설치 for Window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젝트의 버전들을 관리하는 GIT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 다음 글에서는 Mac을 위한 GIT 설치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1. GIT 설치 https://git-scm.com/ Git git-scm foxyprogramming.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Mac 사용자 분들을 위한 GIT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맥의 경우, 기본적으로 GIT 설치가 되어있을겁니다! 하지만 버전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최신 버전으로 다시 설치해.. 2022. 12. 23. [GITHUB] GIT 설치 for Window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젝트의 버전들을 관리하는 GIT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 다음 글에서는 Mac을 위한 GIT 설치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1. GIT 설치 https://git-scm.com/ Git git-scm.com Download 버튼을 누르고 설치 창이 나오면 GIT BASH에 대한 부분을 반드시 포함합니다. 전부 기본 설정 그대로 유지하시면 됩니다~ 2. 설치 확인 Git Bash를 켜고, git --version 버전에 대한 정보가 나온다면 설치 완료! 3. SourceTree 설치 https://sourcetreeapp.com/ Sourcetree |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 A Git GUI that offers a visual r.. 2022. 12. 23. [AI] Pytorch 개요 및 GPU 사용 여부 체크하기 PyTorch는 머신러닝 프레임워크 중 하나입니다. Tensorflow도 머신러닝 프레임워크 중 하나죠. PyTorch를 사용하면 GPU 연동을 통해 효율적으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colab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import torch 다음과 같이 import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GPU 사용 여부 체크하기 a = [[1,2],[3,4],[5,6]] x = torch.tensor(a) print(x.is_cuda) x = x.cuda() print(x.is_cuda) x = x.cpu() print(x.is_cuda) x.cuda() 라는 명령어로 GPU로 옮기고, cpu()라는 명령으로 CPU로 옮길 수 있습니다. 2022. 12. 22.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