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빅데이터/Database6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정규화란? 함수적 종속성 등과 같은 이론에 근거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삽입, 삭제, 갱신으로 인한 이상 현상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좀 더 작은 단위의 테이블로 설계하는 과정. 즉, 데이터 모델을 정규형에 맞도록 고치는 과정입니다. 여기서 정규형은 정규화 결과에 의해 도출된 데이터 모델이 갖춰야 할 특성을 말합니다. 또한 함수적 종속성이란 테이블의 특정 컬럼 A를 알면 다른 컬럼 B를 알 수 있을 때, B는 A에 함수적 종속성이 있다고 합니다. 정규화를 하게 되면 얻는 장점으로는, 상호 종속성이 강한 데이터 요소들을 분리, 독립된 개념(엔티티,테이블)로 정의하게 됨에 따라 유연성이 극대화됩니다. 개념이 조금 더 세분화됩니다 재활용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 중복이 최소화됩니다 정규화에는 제 1정규.. 2022. 10. 19.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모델 건축물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설계도면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우리는 이 데이터베이스(건축물)를 만들기 위해 데이터모델(설계도면)을 필요로한다. 지금부터 데이터모델에 대해 알아보자 데이터모델 데이터 모델은 현실 세계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도록 추상화 한 것입니다. 다른 말로 익숙된 표기법에 의해 명확하고 단순하게 표현한 것입니다.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설계의 과정으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으로 총 3단계로 나뉩니다.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핵심 엔터티와 핵심 엔터티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과정으로, 추상화 수준이 높고 업무 중심적임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모든 업무 요구를 충족하기 위.. 2022. 10. 14.
[데이터베이스] - 관계 대수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로는 연산 + 데이터 구조 + 제약 조건이 있다고 했었죠.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관계 대수(연산) + 릴레이션(데이터 구조) + 무결성 제약 조건(제약 조건)으로 이루어진다고 했었구요. 잘 기억이 안 나시면 이전 글들 참고해주세요. 2022.10.04 - [AI, 빅데이터/Database]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이 글에서 다룰 내용 *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및 특징 * 데이터 모델 * DB 관련 용어 "데이터베이스 : 조직체의 응용 시스템들이 공유해서 사용하는 운영 데이터들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모임" 쉽게 foxyprogramming.tistory.com 2022.10.11 - [AI, 빅데이터/Database] - [데이.. 2022. 10. 13.
[데이터베이스] - 관계형 데이터 모델 안녕하세요! 저번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해서 다뤘었죠~ 2022.10.04 - [AI, 빅데이터/Database] - Database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란 DB + User + DBMS + HW로 구성된 시스템이라고 말씀드렸었는데요, 오늘은 데이터베이스의 모델 중 하나인 관계형 데이터 모델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관계형 데이터 모델이란 무엇일까요? 데이터 구조는 테이블을 사용하고, 중첩된 복잡한 구조가 없으며, SQL을 제공하는.. 즉! DB 설계와 효율적인 질의 처리 면에서 뛰어난 장점을 갖는 모델을 말합니다. 데이터의 독립성을 높이고, 단순한 구조이며, 한 번에 다수의 튜플들의 집합을 조작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모델이죠.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는 .. 2022. 10. 11.